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참깨 재배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과연 참깨 재배법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참꺠 밭 만들기 참꺠는 습기를 싫어하는 식물입니다. 따라서 고온에 강하고 건조에도 강한 작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추와 참깨 농사는 가뭄이 있으면 풍년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비다. 참꺠 재배를 할떄는 꼭 망을 지어서 재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사질 양토의 물빠짐이 좋은 땅과 적당한 산도(PH 6 ~7)를 위해 석회는 필수입니다. 또한 참꺠 전용 복합 비료를 시비하여 결실율을 높이는 거시 좋습니다. |



참꺠 파종 시기 참꺠 재배법 중에서 이모작 재배는 6월 30일 이후에 참꺠를 파종하면 참꺠의 수량이 떨어지므로 맥류 수확 후 바로 파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흑생 멀칭을 하면 강한 광선을 차단하여 지온을 낮추고 잡초 방지 효과가 뛰어납니다. 참꺠의 파종 시기는 7월 상순까지이며 재식 거리는 30cm ~ 40cm x 15cm 간격으로 심는 것이 좋습니다. 참꺠의 발아 초기에 발생하는 잘록병과 수량에 치명적인 역병, 시들음병, 잎마름병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을 위해서 적용약제는 10일 간격으로 4회 정도 뿌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참깨 재배법 첫번쨰로 망을 지어서 참꺠 심는 비닐을 씌어서 참꺠 씨앗을 넣고 모래를 넣은 후 물을 듬뿍어 토양을 축축하게 해줍니다. 그 위에 참꺠 파종을 하면 몇일이 지나면 참깨 싹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모래로 참깨 씨앗을 덮어주는 이유는 참새나 각종 새들이 모래 속에 덮어 둔 참꺠 씨앗을 찾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참꺠는 비료를 하면 안됩니다. 너무 크게 참꺠가 자라면 참꺠가 많이 열리지 않으면서 비, 바람에 쓰러질 염려가 있기 떄문입니다. |
참깨 재배법 참꺠는 토질이 비온한 곳에서는 저절로 잘 자랍니다. 따라서 고랑에 풀 뽑기만 자주 해주면 긴메기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참깨 포기 간격은 15cm ~ 2cm가 적당합니다. 너무 띄어서 참꺠를 심게되면 면적당 꼬투리수가 줄어들고 참꺠의 쓰러짐이 많아져서 수확 작업을 하는데 더 힘들어 지기 떄문입니다. 한 구멍당 참꺠 종자를 4 ~ 5알씩 심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참꺠 심는 시기를 지킨뒤에 참깨가 초반에 잘 자랄떄 배수로를 만들어 토양이 과습되지 않도록 해줘야 합니다. |
참꺠 수확시기 참꺠 수확시기는 8월 중순 쯤 꼬두리가 2 ~ 3개 정도 벌어지면 그떄 해주시면 됩니다. 참꺠 수확시기가 되면 참꺠 밑에 있는 꼬투리가 마르면서 벌어지게 되고 참꺠의 잎도 누렇게 변하게 됩니다. 참꺠의 수확 시기는 보통 더운 여름 8월 부터 수확을 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참꺠의 상태를 보고 수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꺠를 심은 날짜와 농사법에 따라 조금씩 참꺠 성장의 차이가 있기 떄문입니다. |
참꺠 효능 중국에서는 참꺠를 100알을 먹으면 만병이 없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참꺠를 1년을 계속해서 먹으면 배고픈 줄 모르고 전신의 피부가 고와지며, 2년을 먹으면 흰머리가 검어지고, 3년을 계속해서 먹으면 빠졌던 이가 다시나고, 4년을 계속해서 먹으면 물과 불에도 데지 않고, 5년을 계속해서 먹으면 뛰는 말보다 빠르고 장수하리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만큼 참꺠는 우리 인체의 몸에 많은 효능을 주는 식물입니다. |
참꺠 효능 참꺠는 작아보이지만 그 효능은 뛰어납니다. 옛날로부터 참꺠는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불려졌습니다. 참꺠 속에는 셀레늄과 세사미놀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항함효과가 뛰어납니다. 참꺠에는 칼슘, 비타민 B1, 인, 철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성장기 아이들의 골격 형성과 치아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참깨 100g당 칼로리는 559kcal입니다. 열량이 높기 때문에 하루에 10g만 먹어도 충분합니다. 10g에 59kcal이니 비만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칼슘은 100g당 1237mg이나 비타민C는 전혀 없다. 따라서 비타민C가 많은 귤이나 키위를 식후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참꺠 요리 방법으로는 먹을 떄마다 볶아서 바로 찧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미리 볶아서 갈아 놓으면 기름이 산화되어 참꺠 효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